서울 경전철 서부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경전철 서부선은 고양시청부터 관악산역까지 총 17개 역, 17.95km 구간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2020년 11월 17일 제2차 서울특별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되어 사업이 추진되었다. 2023년 5월 29일 고양은평선과의 직결이 결정되었으며, 2024년 착공하여 2028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차량은 서울 경전철 신림선과 동일한 차량이 투입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경전철 - 서울 경전철 신림선
서울 경전철 신림선은 영등포구 샛강역에서 관악구 관악산(서울대)역까지 7.6km를 운행하는 노선으로, 2022년 5월 개통되었으며 11개 역으로 구성, 기존 지하철 노선과의 환승을 통해 서울 남부 지역의 교통 편의를 개선하고 서울대학교 접근성을 향상시켰으며, 무인 자동운전 K-AGT 방식의 고무차륜 전동차를 운영한다. - 서울 경전철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은 강북구 북한산우이역부터 동대문구 신설동역을 잇는 총 연장 11.4km의 대한민국 최초 완전 지하 경전철 노선으로, 2017년 9월 개통되어 무인자동운전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향후 1호선 방학역 연결 지선 건설 계획이 있다. - 계획 중인 철도 노선 - 대경선
대경선은 구미역과 경산역을 잇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2024년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한국형 열차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고 2량 대형 전동차를 운행하며, 현재 2단계 구간 사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고 일부 교통카드는 호환되지 않는다. - 계획 중인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은 녹산국가산업단지와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경제 위기로 인해 사상-하단 구간을 우선 추진하며, 2026년 개통을 목표로 총 6.9km, 7개의 역에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서울 경전철 서부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이름 | 서울 경전철 서부선 |
노선명 | 서울 경전철 서부선 |
종류 | 도시 철도 |
체계 | 수도권 전철 |
상태 | 착공 예정 |
노선 정보 | |
구간 | 기점: 고양시청역(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주교동) 종점: 관악산역(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211) |
개통일 | 2028년 (예정) |
소유 및 운영 | |
소유자 | 서울특별시 |
기술 정보 | |
총 연장 | 17.95km |
궤도 | 복선 |
전철화 | DC 750V |
복선 구간 | 전 구간 |
제원 비고 | 내용 |
2. 연혁
2. 1. 사업 추진 과정
2020년 11월 17일: 제2차 서울특별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이 고시되면서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1] 2023년 5월 29일 고양은평선과의 직결이 결정되었다.[2] 2024년 착공하여, 2028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3. 노선
서울 경전철 서부선은 새절역(6호선), 신촌역(2호선), 광흥창역(6호선), 노량진역(1호선, 9호선), 장승배기역(7호선), 서울대입구역(2호선) 등을 경유하여 서울 도심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경전철 노선이다.
3. 1. 개요
서울 경전철 서부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를 경유하는 경전철 노선이다. 새절역(6호선), 신촌역(2호선), 광흥창역(6호선), 노량진역(1호선, 9호선), 장승배기역(7호선), 서울대입구역(2호선) 등 주요 환승역을 경유하여 서울 도심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총 연장은 17.95km이며, 17개 역이 있다. 2024년에 착공하여 2028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운행 차량은 서울 경전철 서부선의 차량이다.3. 2. 역 목록
거리거리
서울 지하철 9호선|서울 지하철 9호선한국어